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ADHD 증후군 증상 및 치료방법 (주의력 결핍장애)

by 스마일Q 2023. 2. 21.
반응형

ADHD 증후군 증상 및 치료방법 (주의력 결핍장애)

 

ADHD증후군

 

1. ADHD 증후군

ADHD증후군이란,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약자로,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입니다.

보통 소아기에 증상을 보인다고 하는데요,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주의력이 많이 떨어지고, 산만하다거나 과다한 활동, 충동성등의 증상들을 나타냅니다.

 

2. ADHD 증후군 증상

ADHD는 단순히 주의력 결핍과 과다 행동장애를 넘어서 강박장애, 성격장애, 기분장애, 우울증, 불안장애등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

ADHD 증후군이 있는 아이들은 주의력 결핍과 과다한 행동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학교생활 또는 공부등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합니다. 대체적으로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들에 비하여 3-4배 이상의 높은 발병율을 보이고 있슨비다.

대체적으로 소아기에서 연령이 올라가면서 증상이 없어지며, 소아ADHD가 성인ADHD로 가는 확률은 대략 20% 정도라고 합니다.

점차 호전되어 없어질 증상이라고 생각하더라도, 이 짧은 소아기에 동반될 수 있는 여러가지 정신 질환등을 고려하면 증상이 나타날때 전문가에게 진찰을 받아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후속 조치를 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한 곳에 오랜 시간 집중하는 것을 힘들어 한다.
  • 수업중에도 가만히 있지를 못하고 돌발 행동을 할 수 있다.
  • 충동성이 적은 유형의 경우, 가만 앉아있어도 손발을 꼼지락 거린다거나 계속적으로 딴 짓을 한다.
  • 숙제를 끝까지 하기 어려워 하거나 준비물을 자주 잊어버린다.
  •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는것을 힘들어 한다.
  • 다른 사람의 말을 끝까지 듣지를 못하고 말을 끊거나 먼저 대답을 한다.
  • 때때로 공공장소에서 소리를 지른다거나 소란을 피운다.
  •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상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경우 반항, 강박, 성격장애 및 우울증 등의 합병증이 동반된다.

 

3. ADHD 치료

ADHD 진단은 증상과 장애수준을 놓고 진단이 이루어진다.

약물 또는 여러가지 행동 교정 방법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

 

3.1 약물치료

대게 이 증후군의 80%정도가 약물치료로 호전이 될 수 있다. 약을 복용하게 되면 약효의 반응으로 눈에 띄는 행동 변화가 일어난다. ADHD에 치료되는 약물의 경우 체내에 24시간 이내에 배출이 되기 때문에 약물에 대한 내성은 없다고 합니다.

 

3.2 인지 행동 치료

약물 치료와 함께 인지 행동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인지치료의 경우 규칙을 지키고 따르며 상황에 맞게 말과 행동을 의식적으로 조절하여 절제 할 수 있도록 인지를 할 수 있게끔 교정하는 과정이며, 행동치료의 경우 잘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강화를 합니다. 이때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옳고 잘한 것이라면 칭찬을 아끼지 않아야 하며, 반면에 잘못된 행동의 경우 질책을 하거나 벌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4. 조기 치료가 중요

내 눈에는 한없이 이뻐보이는 자녀이기에 여러 유형의 증상들이 발현되어도 이쁘게 보고 넘길 수 있다는 것에 주의를 하여야 합니다.

내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타인의 눈에는 이러한 증상들이 눈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학교 또는 학원에서 담당 교사가 혹시라도 이러한 유형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하였을 경우 기분 나빠하지 말고, 그동안의 행동들을 역관찰하여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조기에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

댓글